매일매일 맛있는
사찰 음식
R E C I P E
공지사항
NOTICE
-
2505월
사찰음식,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사찰음식, 2025년 5월 19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 귀중한 전통을 지키고 이어가겠습니다. -------------------------------------------------- ‘사찰음식’은 ‘불교의 정신을 담아 사찰에서 전승해 온 음식’으로, 승려들의 일상적인 수행식과 발우공양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식사법을 포괄합니다. 사찰마다 다양한 음식이 전승되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불교 사상에 기초하여 육류와 생선, 오신채(마늘, 파, 부추, 달래, 흥거) 없이 조리하는 채식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사찰음식’은 불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이후 오랜 기간 동안 한국의 식문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왔습니다. 고려시대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조계진각국사어록(曹溪眞覺國師語錄)』,『목은시고(牧隱詩藁)』와 같은 문헌에서 채식만두와 산갓김치 등 사찰의 음식과 관련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묵재일기(默齋日記)』, 『산중일기(山中日記)』의 기록을 통해 사찰이 두부, 메주 등 장류와 저장 음식의 주요 공급처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사대부가와 곡식을 교환하는 등 음식을 통해 민간과 교류해 온 모습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찰음식’은 불교 전래 이후 발전해오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으며, ‘살아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는 불교의 불살생 원칙과 생명 존중, 절제의 철학적 가치를 음식으로 구현하여 고유한 음식문화를 형성하였습니다.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하는 조리 방식과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식재료를 활용하고, 사찰이 위치한 지역의 향토성을 반영하는 등 타 국가의 사찰음식과 차별화됩니다. 다만, 각 사찰마다 다양한 조리법이 이어져 오고 있으며, 승려를 중심으로 사찰 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집단 전승체계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하였습니다.(해당 링크: 국가유산청 국가무형유산 사찰음식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sngl=Y&ccbaCpno=1272505190001)
-
1305월
제4회 사찰음식 대축제가 개최됩니다.
#무료입장! 5월 19일 공식 홈페이지 오픈! 사전등록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www.templefoodfestival.com
언론에 비친 사찰음식
NEWS
-
YTN
사찰음식 명장 정관스님, 이탈리아에 알리는 '한국의 사찰음식 맛'
-
충북일보
청주 용화사 사찰음식 체험*나눔행사
-
뉴시스
사찰음식 전문조리사 46명 배출
-
법보신문
한국한 연구 유학생들에게 전통 불교문화 소개
-
YTN
한국불교문화사업단, 미국서 한국 사찰음식 선보여
-
이데일리
샌프란시스코에서 '사찰음식' 홍보
-
BBS NEWS
조계종, 정관스님.우관스님 사찰음식 명장 위촉
-
이데일리
위로와 격려 필요한 곳에 '사찰음식' 배달합니다.
-
연합뉴스
프랑스 파리 르 꼬르동 블루에서 사찰음식 강연한 홍승 스님
-
뉴시스
한국사찰음식 세계에 알리다... 불교문화사업단 '테이스트 오브 파리' 참가
-
현대불교신문
채식에 빠진 2030, '핫플'된 사찰음식 전문점
-
아시아투데이
뷸교문화사업단, 대구 사로잡은 '사찰음식 특별전'
-
불교신문
불교문화사업단, '르 꼬르동 블루'에 사찰음식 강의 진행
-
BTN불교TV
<함께 취재해요> 사찰음식 소임자 교육 현장
-
BBS NEWS
사찰음식 솜씨 겨뤄요...제4회 사찰음식 경연대회